대가야의 고령(高靈),
역사를 쓰다

대가야의 시작은 이 땅에 살기 시작한 여느 부족과 다를바 없이 소소하였습니다. 사람들은 무리를 이루며 살기 시작했고, 이 무리들이 정착하면서 마을(취락)을 이루었습니다. 신석기시대에 등장한 취락은 청동기시대에 접어들면서 농업의 발달, 특히 쌀농사의 시작과 잉여생산물의 발생, 인구의 증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다수의취락이 결집되거나 혹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정치적, 경제적 단위를 이루는 읍락으로 이루어 졌습니다. 읍락은 다시 철기 문화의 발달과 함께 여러 읍락이 결합되면서「국()」이라기보다 큰 단위의 정치체로 형성이 되었으며, 대가야 또한 그 중의 하나가 됩니다.
4세기 중엽

고구려군의 낙동강 유역 진출 이후 가야 여러 나라들 가운데에서 대가야가 점차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여 5세기 후반 경에는 가장 두드러진 세력으로서의 모습을 보입니다. 고구려군에 격파된 김해세력(금관가야)은 그 후 쇠퇴하게 되었으며, 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은 고령을 중심으로 하는 내륙지방의 대가야세력이 후기가야를 주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 01결정적 발전 계기
    고대가옥촌에서 시대적, 역사적 사실들을 애니메이션을 통해 옛 대가야의 체취를 느낄 수 있으며, ‘대가야국제 교류 체험관’과 ‘철의 왕국 대가야 체험장’에서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 직접 몸소 느낄수 있는 직접체험을 제공합니다.
  2. 02지리적 이점
    고대가옥촌에서 시대적, 역사적 사실들을 애니메이션을 통해 옛 대가야의 체취를 느낄 수 있으며, ‘대가야국제 교류 체험관’과 ‘철의 왕국 대가야 체험장’에서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 직접 몸소 느낄수 있는 직접체험을 제공합니다.
  3. 03성장기반
    대가야가 가야 후기 강력한 국가로 성장 할 수 있었던 기반은 유리한 교역로의 확보를 통한 철의 수출과 안정된 농업기반에 있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그러한 것을 지킬 수 있었던 강력한 방어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지산리 고분군과 같은 대형 고총고분군은 대가야의 발전상을 가장 잘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가야는 자체 발전을 바탕으로 주변 가야지역으로의 진출도 단행하였고 토기를 비롯한 고고학적 양상들은 대가야가 5세기 중엽에 황강 유역 및 남강 상류역을 포괄하는 연맹체의 맹주국이 되었고, 5세기말에는 그 대부분 지역을 간접 지배하는 단계로까지 발전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습니다.
대가야국 연대기
대가야국 연대기

시대, 년도, 내용으로 나열된 표

시대 년도 내용
대가야 42년 정견모주(正見母主)라는 가야산신과 이비가(夷毗訶)라는 천신 사이에 태어난 뇌질주일(惱窒朱日)이 대가야의 시조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이 되었다는 건국신화가 전해옴
400년 가야 · 백제 · 왜가 서로 힘을 합쳐 신라를 공격함
479년 하지왕(荷知王)이 중국 남제에 사신을 보내 ‘보국장군본국왕(輔國將軍本國王)’이라는 작호를 받아옴
481년 고구려와 말갈군이 신라를 공격하자 대가야와 백제가 신라를 구해줌
522년 이뇌왕(異腦王)이 신라 왕족 여자와 결혼함
532년 금관가야가 신라에 멸망함
551년 우륵과 그 제자들이 신라의 진흥왕 앞에서 가야금을 연주함
554년 백제와 힘을 합쳐 관산성에서 신라와 싸웠으나 패배함
562년 제16대 도설지왕(道設智王)때 신라 진흥왕의 공격으로 멸망함
통일신라 757년 고령군으로 이름이 바뀜
고려 940년 경산부(京山府)에 속함
1175년 감무(監務)가 내려와 다스리기 시작함
1390년 박위(朴葳)장군이 왜구를 격파함
조선 1413년 고령현에 현감이 내려와 다스리기 시작함
1593년 임진왜란 의병대장 김면(金沔) 장군의 의병활동
1597년 정유재란 고령대첩
근 · 현대 1895년 경상도 고령군으로 됨
1896년 경상북도 고령군으로 됨
1979년 고령면이 고령읍으로 승격되어 1읍 7면이 됨